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하철 9호선에 의자 없는 칸을 도입하는 걸 검토 중인데요. <br> <br>지옥철로 불리는 김포골드라인에선, 혼잡도를 낮추는 데 실효성이 없는 걸로 판단한 걸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강태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출근길 4호선 지하철입니다. <br> <br>승객들이 꽉 들어차 몸을 움직이기도 힘듭니다. <br> <br>이 열차는 출퇴근길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지난 1월부터 '의자 없는 칸'으로 시범 운행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열차에 직접 타봤습니다. <br> <br>의자가 없어진 공간에 승객이 더 탑승해 의자가 있는 칸과 혼잡도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<br> <br>서울시는 4·7호선에 이어 9호선에도 '의자 없는 칸'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9호선 열차 6칸 중 2칸에 의자 대신 서서 기댈 수 있는 등받이와 손잡이만 설치하는 방식입니다. <br> <br>[이지민 / 인천시 계양구] <br>"출퇴근할 때 앉아가는 게 편한데 의자를 없앤다고 하면 좀 피로도가 더 쌓이지 않을까." <br> <br>[이다호 / 서울시 강북구] <br>"(승객들이) 더 많이 타게 되면 내릴 때 문제 생길 수도 있을 것 같고." <br><br>서울교통공사는 출근시간 '의자 없는 칸' 혼잡도가 12%p 낮아졌다고 추정했습니다. <br> <br>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전국 최대 혼잡률을 보이는 김포골드라인은 2021년과 지난해 두 차례나 이 방안을 검토했다 철회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<br>김포시 관계자는 "골드라인은 다른 지하철에 비해 열차폭이 좁아 의자를 없애는 방식은 효과가 미미하다고 판단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장기적으로는 증차와 증량이 지옥철 해소의 근본 대책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태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근목 <br>영상편집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강태연 기자 tango@ichannela.com